- SK텔레콤의 ‘6년의 침묵’
“고객님, 시스템상 그렇게 확인됩니다.” 이 한마디는 오늘날 대기업의 무책임을 상징하는 문장처럼 들린다.
최근 한 소비자는 사용한 적도 없는 태블릿 단말기에 대한 통신요금이 6년 동안 자신의 통장에서 자동이체로 빠져나갔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문제는 그동안 단 한 차례도 사용 내역에 대한 안내나 확인 요청이 없었다가 최근에서야 몇번 고지하여 알게되었다는 점이다. 소비자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알지도 못한 채 요금을 내왔고, 기업은 ‘미필적 고의’의 그늘 속에서 6년동안 묵묵히 돈을 받아왔다.
“몰랐으면 괜찮다”는 식의 기업 논리
기업은 말한다. “고객님, 시스템상 사용 내역이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시스템은 고객의 의사와 현실을 무시한 채, 오직 기업의 이익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장치였다. 고객이 해당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명확한 진술에도, 상담원은 “규정상 환불은 어렵다”고 답한다. 마치 소비자의 무지와 방심을 기업의 수익 모델로 삼는 듯한 태도다.
이것은 단순한 착오가 아니다. 지속적으로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방치한 행위, 즉 ‘미필적 고의’에 가깝다. 법적으로든 윤리적으로든, 이는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다.
공정거래의 이름으로 감춰진 불공정
통신시장은 국민의 기본 인프라를 담당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그만큼의 투명성과 공정성이 생명이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그 기본을 정면으로 거스른다. 계약의 진정성은 ‘서류상 동의’가 아니라 ‘소비자의 명확한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소비자가 ‘이용 중임을 몰랐다면’, 그것은 이미 계약의 실질적 효력이 사라진 것이다.
그럼에도 SK텔레콤은 ‘시스템상 사용 기록이 있다’는 이유로 소비자에게 6년간의 요금을 돌려주지 않았다.이것이 과연 ‘공정거래’의 이름 아래 가능한 일인가?
신뢰를 저버린 기업, 신뢰를 요구하는 국민
기업의 이익은 결국 소비자의 신뢰 위에 쌓인다. 그 신뢰를 배신한 순간, 그 어떤 광고와 이미지도 허무해진다.
한 사람의 소비자가 겪은 억울함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곧, ‘누구나 당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의 축소판이다.
소비자는 묻는다
“내가 그걸 사용하지도 않았는데, 왜 6년 동안 돈을 내야 합니까?”
이 단순한 물음에 정직하게 답하지 못하는 기업이라면, 그것은 더 이상 국민의 통신을 맡을 자격이 없다.
소비자의 각성, 기업의 성찰
지금 필요한 것은 환불의 문제가 아니다. 이 사건은 기업의 시스템이 인간의 양심보다 앞서서는 안 된다는 경고다.
기업이 스스로의 오류를 인정하고, 소비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는 것. 그것이 신뢰를 회복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이제는 소비자가 깨어나야 한다.
자동이체의 편리함 뒤에 숨은 ‘무의식의 착취’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소비자의 무지가 기업의 이익이 되는 사회는, 결코 건강한 사회가 아니다.
정의는 거창한 제도가 아니라,
“당연한 일을 당연히 바로잡는 일”에서 시작된다. SK텔레콤이 진정한 국민 기업이라면, 그 첫걸음을 지금이라도 내딛어야 한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