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조중동e뉴스=임학래) =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은 늘었지만 질은 악화됐고, 체감물가 상승이 청년들의 소득 체감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 따르면, 20대의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1.9%**에 그쳐 모든 세대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40대는 2.1%, 50대는 2.2%, 30대는 3.1%, 60대 이상은 5.2%였다.
특히 최근 5년(2019∼2024년) 20대 증가율은 **1.1%**에 머물러, 앞선 5년(2014∼2019년) 2.6%에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X
채용시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 고용 늘었지만 ‘비정규직 함정’
한경협은 청년층의 실질소득 부진 원인으로 고용의 질적 저하를 지목했다.
같은 기간 20대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으며, 비정규직 비율은 32.0%에서 43.1%로 11.1%포인트 증가했다.
고용률은 61%로 개선됐지만, 소득의 안정성과 수준은 뒷걸음질 친 셈이다.
X
세대별 월평균 실질소득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체감물가, 소득 상승 효과를 상쇄
외식비와 숙박비 급등도 청년층을 옥죄고 있다.
2019∼2024년 ‘음식·숙박’ 물가는 연평균 4.0% 상승했는데, 이는 전체 소비지출 항목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8%로, 직전 5년(1.1%) 대비 두 배 이상 뛰었다.
그 결과 명목 가처분소득이 3.8%→4.0%로 소폭 늘었음에도, 물가 상승 효과가 이를 상쇄하면서 실질소득 체감은 뚜렷한 하락세로 이어졌다.
X
청년층 주요 소비지출 항목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양질의 고용·외식물가 안정 시급”
한경협은 “청년층 소득 개선을 위해 단순한 고용 수치 확대가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확대와 직업훈련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며, “외식 물가를 잡기 위해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같은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년 세대가 느끼는 경제적 좌절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다.
정부가 단기 수치 개선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구조적 처방을 내놓아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