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동연 "국민주권정부 정주행 외교, 경기도가 뒷받침"
"민관정 대표단 삼각편대 협치외교로 대중국 경제영토 확장"
X
동행 기자단과 인터뷰하는 김동연 경기도 지사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박 6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국민주권정부의 '정주행 외교'를 경기도가 뒷받침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전임 정부의 외교를 '역주행', '뺄셈 외교'로 규정하며 노골적인 정치적 발언을 쏟아내, 지방정부 수장의 외교 활동을 빌미로 중앙정치를 비판하고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그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는 지적이다.
X
장쑤성 지도부 방문한 김동연 지사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제영토 확장' 주장…실질적 성과는
김 지사는 27일 중국 난징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방중의 성과로 ▲정부 외교 뒷받침 ▲대중국 경제영토 확장 ▲민·관·정 협치 외교를 꼽았다. 그는 도의회 의장, 도내 AI 기업 대표단과 함께 중국 GDP의 40%를 차지하는 충칭·상하이·장쑤성을 방문해 경제 협력을 논의했다.
특히 충칭 량장신구와 판교 등 경기도 6개 AI 클러스터 간 기업 교차 진출 및 교차 투자 방안을 제시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기업 '종루이코리아'와 투자유치 협약을 맺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구체적인 투자 액수나 계약이 명시되지 않은 '협력 방안 제시', '우호 관계 체결' 등이 과연 '경제영토 확장'이라는 수사에 걸맞은 실질적 성과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외교 무대서 드러낸 '정치적 야심'
이번 방중에서 더욱 주목받은 것은 김 지사의 '입'이었다. 그는 "윤석열 정부 때는 뺄셈 외교, 역주행 외교였는데 국민주권정부가 되면서 제대로 된 외교의 길로 접어들었다"며 "경기도는 (윤 정부의) 역주행에 맞서 정주행했다"고 주장했다. 지방정부 수장이 해외 순방 자리에서 특정 정파의 시각을 대변하며 전임 정부의 외교 정책을 정면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는 중앙정부의 외교와는 별개로 '경기도식 외교'를 펼치겠다는 의지를 드러냄과 동시에, 야권의 유력 잠룡으로서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다음 달로 예정된 미국 출장 계획 역시 이러한 분석에 힘을 싣는다. 김 지사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대변인을 지낸 세라 샌더스 아칸소 주지사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취임 후 약속한 100조 원 투자 유치를 이번에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며 경제적 성과를 자신하면서도 "정무적 판단도 있다"고 언급해, 미 공화당 측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 정치적 목적이 있음을 숨기지 않았다.
X
충칭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찾은 김동연 경기지사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내 일 할 뿐"이라지만…시선은 '2026년 지방선거'로
김 지사는 "지방선거까지 8개월 남았는데 선거 때문에 일한다고 하면 잘못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충칭 임시정부 청사 방문 후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약속하고, 귀국 후 '민생경제 투어'를 재개하는 등 그의 광폭 행보는 명백히 도민들의 표심을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국 이번 중국 방문은 경제적 실리 확보라는 명분 아래, 전임 정부와 각을 세우고 국제적 네트워크를 과시하며 '일 잘하는 유능한 리더'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다목적 카드였던 셈이다. 그의 시선이 이미 2026년 도지사 재선을 넘어 더 큰 무대를 향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