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다신 국가폭력 없어야…시간 걸려도 역사 바로잡아야"
여순사건 77주년 "희생자와 유족에 깊은 애도·위로"

X
이재명 대통령, 전국체전 기념사 (부산=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전국체전 개막식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5.10.17

(서울=조중동e뉴스) 김현수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여수·순천 10·19사건(여순사건) 77주기를 맞아 “다시는 국가 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으로서의 “엄중한 책임 의식”을 강조하며, 진상 규명과 역사적 정의 확립을 다짐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은 애도와 위로를 전한다”며, “2021년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에 따라 신속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를 바로잡고 정의를 세우는 것은 시간이 걸려도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며, “우리 모두가 이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갈등과 상처를 극복하며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굳건히 세워나가길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여순사건이 단순한 군 반란 사건이 아니라, 국가 폭력의 희생자들에 대한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의 과제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실제로 2021년 제정된 ‘여순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은 70여 년 만에 피해자 가족들의 명예 회복 길을 열었다.

전문가들은 “여순사건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국가가 국민에게 가한 폭력의 상징적 사례”라며 “이재명 정부가 인권과 역사 정의를 핵심 가치로 내세운 만큼, 이번 발언이 실질적 조치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여수·순천 10·19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일부가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시작된 반란 및 진압 과정에서 수천 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비극이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단순한 추모를 넘어, “국가 책임에 대한 새로운 시대적 약속”으로 읽힌다.
역사는 잊지 않을 때 비로소 정의가 된다.

팩트로 세상을 읽고, 제도로 사회를 바꾼다. — 조중동e뉴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