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열흘 만에 멈춘 ‘한강버스’에 4억 원이 넘는 홍보비를 쏟아부은 사실이 드러났다.
‘국내 최초 친환경 수상버스’라는 간판 아래 출항했지만, 방향타 고장과 전기계통 이상으로
운항이 중단된 지 불과 열흘 만에 시민 탑승이 전면 중단됐다.
그러나 정작 시는 이미 대규모 홍보 예산을 집행한 뒤였다.
X
멈춰선 한강버스, 오늘부터 '무승객 시범운항'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29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서 한강버스가 멈춰 서 있다.
시민 탑승을 일시 중단한 한강버스는 이날부터 한 달 동안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에 나선다. 2025.9.29
■ 열흘짜리 운항, 홍보비는 4억 원 넘어
19일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공개한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해 한강버스 홍보 예산으로 4억1천606만 원을 지출했다.
전광판 광고, 포스터, 리플릿 제작비로 3천750만 원, 지면 광고 1억4천355만 원, 라디오 광고 1억2천700만 원, 유튜브·SNS 홍보 영상 및 카드뉴스 제작에 1억801만 원이 투입됐다.
특히 대부분의 예산은 정식 운항 직전인 지난 9월 한 달 동안 집중적으로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강버스는 정식 운항 10일 만에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되며 홍보 효과는 사실상 제로(0) 가 됐다.
■ 고장 반복에도 ‘출항 먼저’…안전보다 보여주기
서울시는 올해 9월을 한강버스 출항 목표 시점으로 정해 놓고, 선박 성능 시험과 안정화 절차가 끝나기도 전에 운항을 강행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실제 운항 초반부터 방향타 고장, 전기 계통 이상 등 기술 결함이 반복됐다.
결국 서울시는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한 달간 무승객 운항을 이어가기로 했다.
시민의 기대를 모았던 ‘한강버스’는 결국 홍보용 이벤트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 진성준 “안전보다 치적이 먼저인 행정”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은 “열흘 만에 멈춘 오세훈 시장의 한강버스는 시민 안전을 외면한 보여주기식 행정의 결과”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본인의 치적 과시가 시민의 안전과 혈세보다 우선될 수 없다”며 “서울시는 예산 낭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서울시 “대중교통 홍보 차원”…설득력 부족
서울시 미래한강본부는 “한강버스를 대중교통의 하나로 보고 시민에게 정보를 알리는 차원에서홍보비를 집행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정작 시민은 한강버스를 타보기도 전에 ‘결함 뉴스’만 보게 됐다는 점에서,시의 홍보 논리는 설득력을 잃고 있다. ‘보여주기식 사업 → 실패 → 예산 낭비’라는 서울시의 전형적 행정 패턴이 다시 반복된 셈이다.
“홍보보다 안전, 치적보다 신뢰가 먼저다.”
행정의 목적은 시민의 체험이 아니라 시민의 안전이어야 한다.
한강 위에서 멈춰 선 것은 배 한 척이 아니라,
서울시 행정의 진정성이다.
팩트로 세상을 읽고, 제도로 사회를 바꾼다. — 조중동e뉴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