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조중동e뉴스=단독]김혜빈 기자
동북아 정세가 다시 격렬한 파고를 맞고 있다.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군사적 대응을 할 수 있다”고 발언한 직후, 중국이 이 발언을 두고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중국 외교 수장은 일본 총리의 발언을 “대만 문제에 대한 노골적 개입, 심각한 도발”로 규정하며 경고 수위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중국 외교부는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이자 최후의 레드라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중국의 ‘신속한 보복 조치’… 외교 갈등이 경제·관광으로 번지다
중국의 대응은 외교적 항의에 그치지 않았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 일본행 단체관광 축소, 문화·교류행사 일시 중지 등 민생·경제 분야 전반으로 보복 조치가 즉시 확산됐다.
특히 일본 음식점·관광업계를 중심으로 “중국발 타격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불안감이 퍼지기 시작했다. 양국 경제는 오랜 기간 긴밀히 연결돼 있는 만큼,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제2의 사드 사태’와 비슷한 충격이 일본 내에서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상무부 또한 “양국 간 교역 협력이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며 사태를 외교·안보를 넘어 경제 전면전으로 확장시키는 모양새다.
2025년 11월 15일 도쿄 아사쿠사 구에 있는 센소지 사원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들
■ 왜 이렇게 민감한가… 동북아 지정학의 ‘화약고’ 된 대만
이번 갈등은 단순한 외교적 충돌이 아니다. 대만 문제는 이미 군사·경제·안보 모든 영역을 뒤흔드는 동북아 지정학의 핵심 축이 되어 있다.
중국은 “대만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국가 기반의 정체성 문제”로 접근하고 있고, 일본은 “대만 해협 분쟁은 일본의 생존권과 직결된다”고 주장한다. 이 두 시각이 정면으로 충돌한 것이 바로 이번 사태다.
일본의 ‘군사개입’ 언급은 중국 입장에서 주권·안보·역사 문제가 얽힌 급소를 건드린 셈이고, 중국의 ‘보복 조치’는 일본에 정치적 압박을 가하는 동시에 국내 지지층을 향한 메시지를 강화하는 기능까지 수행한다.
■ 한국을 향한 파장… “동북아 평화가 얇아지고 있다”
이 사태는 한국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일본 간 갈등이 격화되면 → 동북아 공급망, 해운·물류 노선, 관광·문화 교류까지 직격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 → 한반도의 외교·안보 환경이 한층 불안정해짐
한국의 외교적 선택 폭도 →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더 좁아질 가능성
특히 한국의 수출기업·관광업계·해운업계는 일본과 중국의 긴장 국면에서 연쇄 충격을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조심스레 제기된다.
진보적 시각에서 본다면, 강대국 간 갈등이 반복될수록 시민·민생·지역경제가 가장 먼저 흔들린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평화·안정·제도적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이유다.
■ 결론
중국과 일본의 충돌은 한 국가의 강경 발언 한 줄로 시작됐지만, 그 파장은 동북아 전체를 흔들고 있다. 군사, 외교, 경제가 한데 얽힌 복합 위기 속에서, 지역의 평화를 지키는 힘은 결국 투명한 정보, 시민의 목소리, 그리고 제도의 안정성에서 비롯된다.
팩트로 세상을 읽고, 제도로 사회를 바꾼다. — 조중동e뉴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