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달러 쏟아붓는다…오픈AI 5년 계획 마련중"
FT 보도…"신규 수익원·부채 파트너십 등 추진"
X
오픈AI 로고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조중동e뉴스) =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의 판도를 바꿀 거대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현지시간) “오픈AI가 향후 5년간 1조 달러(약 1,400조 원) 규모의 인프라 구축과 수익 다각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X
엔비디아 오픈AI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 1조 달러 ‘AI 초국가’ 건설
오픈AI는 오라클,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등 세계적 반도체·클라우드 기업들과 협력해 26기가와트(GW) 이상의 컴퓨팅 용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 계약 규모만으로도 천문학적이며, FT는 “총비용이 1조 달러를 훌쩍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계획은 단순한 데이터센터 확장이 아니라, 오픈AI가 스스로 ‘AI 산업의 전력 공급국’이 되는 전략으로 읽힌다. 실제로 내부에서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라 불리는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이 추진 중이며, 오픈AI가 직접 컴퓨팅 자원을 생산·공급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 적자에도 ‘질주’…“수익은 10순위 밖”
올해 상반기 오픈AI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했지만, 영업손실은 **80억 달러(약 11조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샘 올트먼 CEO는 “수익은 내 우선순위 10위 안에도 들지 않는다”며 장기적 비전을 강조했다.
현재 오픈AI의 연간 순환 매출(ARR)은 약 130억 달러로, 이 중 70%가 챗GPT 유료 사용자에서 나온다. 전 세계 정기 이용자는 8억 명에 달하지만 유료 구독자는 5% 수준. 오픈AI는 이 비율을 두 배로 높이기 위해 인도·필리핀·브라질 등 신흥국에 저가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다.
■ 새 먹거리, ‘소라’와 ‘AI 에이전트’
FT에 따르면 오픈AI는 AI 영상 생성기 ‘소라(Sora)’, 쇼핑 도구, 기업 맞춤형 GPT 등으로 추가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지식재산권(IP) 수익화’, ‘온라인 광고 진출’, 애플 전 수석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Jony Ive)**와의 협업을 통한 소비자용 하드웨어 개발도 검토 중이다. 이는 AI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하드웨어 제조업으로까지 확장하려는 시도로, 오픈AI가 구글·애플을 동시에 겨냥한 ‘AI 종합 생태계’ 구축을 노린 행보다.
■ 칩 파이낸싱과 순환 자금 구조
오픈AI는 엔비디아·AMD와 **‘칩 파이낸싱(Chip Financing)’**이라 불리는 새로운 자금 구조를 도입했다.
즉, 오픈AI가 확보한 투자금의 상당 부분이 칩 구매로 돌아가면서도, 이를 통해 반도체 기업의 투자 유입을 촉진하는 순환형 금융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일부에서는 “결국 자기 돈으로 자기 제품을 사는 구조”라는 비판이 제기됐지만, 오픈AI는 “우리는 부채 상환 능력이 충분하며, 혁신적 자금조달을 통해 성장 시간을 벌고 있다”고 반박했다.
■ 인간지능을 넘는 ‘기계문명’의 초입
오픈AI는 이번 5년 계획으로 단순한 기술 기업이 아니라 **AI 문명의 ‘플랫폼 국가’**로 도약하려 한다.
1조 달러 규모의 투자는 그저 서버를 늘리는 수준이 아니라, 인간지능을 뛰어넘는 **‘범용 인공지능(AGI)’**을 현실화하겠다는 선언이다.
전문가들은 “이제 AI는 산업이 아니라 인프라가 되었다”며 “오픈AI의 다음 5년은 세계경제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팩트로 세상을 읽고, 제도로 사회를 바꾼다. (조중동e뉴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