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독립운동에 조선어연구회 한글날 제정
X
1945년 10월 한글날 경축 시민행진 펜 일러스트 [독립기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일제 암흑기 속 우리 말과 글을 지켜내며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려 했던 조선어학회의 숭고한 정신이 10월의 독립운동으로 재조명됩니다. 국가보훈부는 조선어학회의 '한글날 제정'을 10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는 한글날이 단순히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을 넘어,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맞서 싸운 치열한 독립운동의 산물임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가갸날에서 한글날으로… 끈질긴 노력의 결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가장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문자로,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이 "한문보다 백배 낫고 편리하다"고 역설했듯, 그 우수성을 확인하는 것은 곧 꺾이지 않는 민족적 자존심의 발로였습니다.
이러한 정신을 이어받아, 주시경 선생의 제자들이 결성한 조선어연구회(조선어학회 전신)는 1926년,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기념해 음력 9월 29일(현재의 11월 4일)을 '가갸날'로 제정하고 기념식을 거행하며 본격적인 국어운동의 서막을 열었습니다. '가갸날'은 1928년 '한글날'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반포일이 1446년 9월 상순으로 명확해졌습니다. 이를 근거로 광복 이후인 1945년부터 양력 10월 9일이 한글날로 확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조선어 표준어 사정위원회 1독회 종료 후 현충사를 참배한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모습. 이들의 헌신은 우리 말과 글을 지키는 초석이 되었다. [한글학회 제공]
사전 편찬에 목숨 건 선열들… 일제 탄압에도 꺾이지 않은 의지
조선어학회의 활동은 단순한 학술 활동을 넘어선, 일제에 대한 강력한 문화적 저항이었습니다. 학회는 일제의 방해와 탄압 속에서도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를 조직했으며, 우리말의 근간을 세우기 위해 1933년 '한글마춤법통일안', 1936년 '조선어표준말모음'을 발표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이에 위협을 느낀 일제는 1937년부터 한글날 기념식을 전면 금지하고 학회 회원들을 탄압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일전쟁 이후 민족 말살 통치가 극에 달했던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을 날조하여 이윤재, 최현배 선생 등 학회 회원들을 투옥하고 고문하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이러한 야만적인 탄압 속에서도 사전 편찬 사업을 멈추지 않았던 것은, 우리 말과 글을 지키는 것이 곧 민족을 지키는 것이라는 굳건한 소명 의식 때문이었습니다.
보훈부는 "한글날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려 했던 선조들의 고귀한 뜻이 담긴 날"이라며 이번 선정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c) 조중동e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