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도 사투리로 소통"…방언으로 마가복음 번역한 임의진 목사
母語로 대화하던 두 누이 잃은 슬픔 딛고 사투리로 성경 풀어내

"우리말의 풍성함 생각…엘리트주의 벗어나 머리 낮추자는 마음"

X
임의진 목사 [임의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예수께서는 입서리를 벌쌔듬마(입술을 열더니) 말씀을 허셨재. '예말이요, 성님 동상님덜. 인자부텀 온 천하에 댕김서 몽조리(모조리) 만나는 사램들마다 그간 알캐드린 복음을 전하셔야 쓰겄소."

가장 오래된 성서 중 하나인 마가복음 16장 15절에는 예수가 제자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명하는 장면이 소개돼 있다. '개역개정판 성경'은 "또 이르시되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고 당시 상황을 전한다. 만약 예수가 전라남도에서 태어났다면 위에 쓴 것처럼 구수한 사투리로 얘기했을지도 모른다.

임의진(56) 목사는 '공동번역 성경'(1997년)과 '개역개정판 성경'(1998년)을 바탕으로 이처럼 전라남도 방언으로 마가복음을 번역한 '마가복음 전남 방언'(대한기독교서회)을 최근 펴냈다.

X
'마가복음 전남 방언' 삽화 '가시관을 쓰신 예수' [대한기독교서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책에는 조정래의 대하소설 '태백산맥'이나 '아리랑'처럼 사투리에 지역 정서가 맛깔나게 녹아있다. 방언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 각 페이지 하단에 주석을 붙였고 방언사전도 책 말미에 덧붙였다. 임 목사의 오랜 벗인 홍성담·전정호 화백이 협업해 목판화로 찍은 삽화를 책에 실었다.

성경을 표준어가 아닌 사투리로 번역하는 것은 언뜻 생각하면 불경스럽게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임 목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런 시각이 편견에 불과하다며 예수 이야기를 꺼냈다.

"예수님은 당시 표준말을 쓴 분이 아니에요. 아람어라는 갈릴리 지방의 사투리를 썼어요."

다양한 언어, 각 지역의 특색이 담긴 말로 성경을 번역하는 것이 낮은 자들의 언어로 가르침을 전한 예수의 정신에도 부합한다는 것이 임 목사의 견해다.

X
책 표지 이미지 [대한기독교서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마가복음 전남 방언'은 지역 언어 연구 자료로 삼기에 손색이 없을 정도로 남도 방언을 생생하게 포착해냈다. 이는 기본적으로는 임 목사가 전남 강진군에서 태어나 강진·해남 등에서 성장하고 일대에서 목회 활동을 하는 등 지역 사회와 어우러진 삶을 살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지만 숨은 비결이 더 있었다.

"저는 목사의 아들로 자랐는데 권사님들이나 동네 할머니들이 저를 키우다시피 했어요. 어렸을 때부터 구수한 강진·해남 사투리를 배우고 자랐어요. 사투리의 영역이 머릿속에서 폭넓게 각인됐죠. 사투리 영재 교육을 받은 셈이죠." (웃음)

작가이기도 한 임 목사가 틈틈이 지역 언어를 정리해서 사전처럼 모아놓은 것도 번역 작업에 도움이 됐다.

그런 그가 성경을 사투리로 번역하길 마음먹은 계기는 작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로 인해 찾아왔다.

누나와 여동생이 목숨을 잃은 것이다. 두 누이는 임 목사가 모어(母語)인 전남 방언으로 자연스럽게 소통하던 혈육이었다.

X
'마가복음 전남 방언' 삽화 '십자가상 예수' [대한기독교서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가족과 전화하거나 만나면 자연스럽게 사투리를 쓰잖아요. 우리는 퍼스트 랭귀지, 그러니까 모어를 서로 썼는데 그런 가족을 잃은 거예요. 슬픔에 잠겨 있었는데 내가 목사라서 그런지 두 누이와 나누었던 사투리로 성서가 떠오르더라고요."

임 목사는 표준어의 역할과 기능을 긍정한다. 하지만 표준어만 바른 것이고 방언은 틀렸다는 시각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투리는 지역의 언어이고 다만 표현이 다를 뿐인데 표준어가 아니면 안 좋은 것처럼 보는 시각이 아쉽다"며 "우리말의 풍성함에 대해서 고민해보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었다"고 말했다.

성경을 굳이 방언으로 번역한 것은 표준어를 제패와 독점의 도구로 인식하는 이들에 대한 일종의 저항인 셈이다.

아울러 요즘 교회에 퍼진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어려운 이들, 낮은 곳에 있는 이들과 함께 하자는 메시지도 전하고자 했다.

"요즘 교회는 밑바닥 사람들, 빈곤한 사람들을 잃어버린 것 같아요. 위험천만하게 권력에 줄을 대기도 하잖아요. 가난한 사람들의 처지를 생각하고 머리를 낮추어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생각으로 사투리로 번역하게 됐어요."

X
남녘교회 시절의 임의진 목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마가복음 전남 방언'은 임 목사가 강진에서 출생해 전남 방언을 모어로 지니게 된 우연의 산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 만약 그가 속초에서 태어났다면 '마가복음 강원 방언'을 펴냈을지도 모른다. 임 목사는 "다른 지방 사투리로도 성서가 번역되기를 기대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