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생리의학상 수상으로 30번째 노벨상 영예…2년 연속 수상
작년엔 니혼히단쿄 '평화상' 수상…생리의학상은 6명째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사카구치 시몬 일본 오사카대 명예교수가 6일(현지시간) 미국 생물학자인 매리 브렁코, 프레드 램즈델과 함께 올해 노벨상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1901년 노벨상 시상 이후 일본 출신 수상자로는 외국 국적 취득자를 포함해 총 개인 29명, 단체 1곳이 됐다.
X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6일 NHK에 따르면 일본인의 노벨상 수상은 1949년 유카와 히데키(1907∼1981) 박사가 물리학상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이번까지 30번째다.
분야별로 보면 그동안 물리학상은 12명, 화학상 8명, 생리의학상 5명, 문학상은 2명이 각각 받았다.
평화상은 1974년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에 이어 지난해 원폭 피해자 단체인 '니혼히단쿄'(일본 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가 두번째로 수상했다.
사카구치 교수가 이번에 수상자로 선정된 데 따라 일본의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6명으로 늘었으며 일본은 작년 니혼히단쿄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수상은 미국으로 국적을 바꾼 상태에서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마나베 슈쿠로 박사에 이어 4년 만이다.
일본인 첫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박사는 태평양전쟁이 끝난 지 불과 4년 뒤인 1949년 물리학상을 받았다.
1868년 메이지유신으로 일본이 서양 과학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인 뒤 81년간 쌓인 과학 연구가 토대가 돼 수상으로 이어졌다.
고도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일본이 국민총생산(GNP) 기준으로 서독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던 1968년에는 소설 '설국'으로 유명한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일본인으로 처음 노벨 문학상을 탔다.
일본인 첫 평화상 수상자인 사토 전 총리는 1974년 일본의 비핵 3원칙에 입각한 외교 등이 평가받았다.
사토 전 총리는 '핵무기를 제조하지도, 보유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인 '비핵 3원칙'을 천명했다.
그러나 노르웨이 노벨상위원회는 2001년 출간한 책에서 "사토 전 총리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 정책을 전면 지지했으며, 일본은 미군 보급 기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하며 사토 전 총리 수상에 의문을 제기했다.
일본인 최초의 화학상은 1981년 후쿠이 겐이치, 첫 생리의학상은 1987년 도네가와 스스무가 각각 받았다.
경제학상 수상자는 아직 없다.
시대별로 보면 경제가 고도성장을 거듭한 가운데 기초 과학 투자가 결실을 보면서 2000년 이후 일본인 수상자가 급증했다.
2000∼2002년 3년 연속으로 일본인이 화학상을 받았으며, 2002년에는 화학상과 물리학상 동시 수상으로 같은 해 처음으로 일본인 두 명이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08년에는 물리학상 동시 수상을 포함해 한해 4명의 일본인 수상자가 탄생하기도 했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