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지방선거 공천룰 조기 확정 방침…완전 국민경선도 검토
경선 기조에 전략공천 최소화…현역 광역지자체장도 경선 원칙

정치신인 가점 논의 주목…민생 실정 부각하며 중도층 흡수 모색

X
국민의힘 전국 시도당위원장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국 시도당위원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10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국민의힘이 총괄기획단을 조기에 가동하며 내년 6·3 지방선거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지방선거까지는 아직 7개월 넘게 남았지만, 총선·대선에 이어 또다시 패배가 재현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라 준비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대선 1년 이내 치러진 지방선거의 경우 대체로 여당이 이긴 데다 지난 지방선거 승리로 이번엔 수성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도 국민의힘이 잰걸음에 나선 이유다.

국민의힘은 사실상 대선과 겹친 2022년의 경우 별도로 지방선거 총괄기획단을 운영하지 않았으며 2018년에는 선거 5개월 전부터 가동했다.

5선의 나경원 의원이 위원장을 맡은 이번 총괄기획단은 우선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 윤곽을 만드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총괄기획단 관계자는 1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열린 공천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늦어도 12월 말까지 대강의 공천 룰(규정)과 시스템을 제시해 공정한 공천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획단은 공천 문제와 관련, 경쟁력 있는 후보 선출을 위해 경선을 원칙으로 전략공천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소속이 시장인 서울, 부산 등 광역지자체의 경우도 후보 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 현재 기획단의 기조다.

기획단은 또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도입도 논의할 예정이다.

국민 경선이 진행되면 '컨벤션 효과'를 통해 격전지에서 후보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다.

기획단의 이런 공천 계획은 통상 정책 집행 능력이 있는 여권에 유리하다고 평가받는 지방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기 위해서는 후보 본인의 경쟁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기획단은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도 초점을 맞출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차원에서 공천 과정에서 정치 신인, 청년, 여성에게 주는 가점과 현역 의원에게 주는 감점 비율을 놓고 세밀한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높은 가점은 신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불공정성 지적이 나올 수 있다는 점 등을 두루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당내에서는 장동혁 대표 취임 후 전면에서 대여 투쟁에 나섰던 기존 당협위원장과 당원들에 대한 공천 우대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기획단의 공천 시스템 논의는 당 지도부 논의를 통해 추후 확정된다.

다만 장 대표는 지난 10일 열린 전국 17개 시·도당 위원장 간담회에서 일부 위원장이 제기한 공천 룰 조기 확정 필요성에 공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룰이 확정돼야 예비후보들이 선거를 조속히 준비할 수 있고, 당 차원의 인재 영입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공천 시스템 정비와 함께 민생 회복을 키워드로 선거전 예열 작업에도 돌입했다.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이 국정과 국회를 일방적으로 운영하면서 민생이 악화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부각해 이재명 정부 2년차 선거에서 바로 '정권심판론'까지 꺼내겠다는 태세다.

정부의 실정이 부각될수록 정책과 민생에 민감한 중도층이 야당을 선택할 명분이 커진다고 보는 것이다.

장 대표 취임 후 대여 투쟁에 주력했던 당이 민생 챙기기와 투쟁이란 '투트랙' 기조로 전략을 미세 조정한 배경 역시 중도층 공략과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2022년 지선에서 승리했던 서울, 충청, 부산이 이번 지선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만큼 이곳을 수성하기 위해선 중도층 민심을 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당 관계자는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중도층에 소구해야 하고,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 집권 1년 동안 나라가 어려워진 것에 대해 정부·여당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p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