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식만 안올라'…코스피 불장에도 중소형주 투자자는 '한숨'
코스피 중소형주 상승률, 시장 수익률 하회…반도체 랠리에 대형주는 '쑥'
소형주 하락 종목 비율, 대형주의 3배…"대형 반도체주 강세 당분간 지속 전망"
X
상장사 시가총액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최근 코스피가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종목 규모별로 수익률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형주는 시장 수익률을 밑도는 수익을 내면서 '풍요 속 빈곤'을 느끼는 투자자들이 적지 않은 모습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0일 전 거래일보다 1.73% 오른 3,610.60에 장을 마치며 지난해 말(2,399.49) 대비 50.5% 상승했다.
상장 기업 규모별로 보면 시가총액 상위 1∼100위권의 대형주로 구성된 코스피 대형주 지수는 올해 들어 54.7% 상승해 코스피 수익률을 웃돌았다.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100개 종목 중 지난해 말 대비 상승한 종목은 87개로 하락 종목(11개) 수의 8배에 달했다.
대표적으로 대형 반도체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주가가 5만3천200원에서 9만4천400원으로 77% 뛰었으며, SK하이닉스도 17만3천900원에서 42만8천원으로 146% 급등했다.
반면 코스피 시총 상위 101위∼300위 종목으로 구성된 중형주 지수는 올해 들어 32.8% 올라, 코스피 수익률(50.5%)을 밑돌았다.
중형주 지수를 구성하는 200개 종목 중 72%에 해당하는 144개 종목이 올랐으며, 25%에 해당하는 50개가 하락했다. 중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25%)은 대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11%)의 2배를 넘었다.
X
개인투자자 손실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특히 코스피 소형주 지수는 올해 들어 16.8% 오르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50.5%)을 밑돈 데 이어, 코스피 대형주(54.7%) 및 중형주 상승률(32.8%) 대비로도 모두 부진했다.
코스피 소형주 지수를 구성하는 541개 종목 중 33%에 해당하는 179개 종목이 지난해 말 대비 주가가 하락했다. 이는 코스피 대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11%)의 3배에 달한다.
소형주 중 이스타코[015020] 주가가 지난해 말 1천899원에서 이달 633원으로 66.7% 급락해 낙폭이 컸다. 이밖에 인스코비[006490](-53.9%), 일성건설[013360](-64.8%), SG글로벌[001380](-50.6%) 등 주가가 올해 들어 반토막이 됐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가 랠리를 이어가면서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보이고 있지만, 중소형주를 보유한 투자자는 '불장'에도 울상을 지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투자자 중 국민연금 등 기관이나 외국인은 대형주 위주로 투자하는 데 비해 중·소형주에 상대적으로 많이 투자하는 개인에게는 쉽지 않은 투자 환경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경태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압도적 수익률 강세와 달리 타 업종은 부진한 수익률을 기록하며 소외되는 차별화 장세가 굳어지고 있다"며 "시장 전체가 소수 주도주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제외한 업종의 3분기 실적 모멘텀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당분간 중소형주의 뚜렷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이후 공개되는 3분기 실적의 경우 자동차와 철강 업종 등의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며 "반도체주에 대한 쏠림 완화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승 현대차증권 연구원도 "한미 관세 협상 난항과 원화 약세는 코스피의 업종별 차별화를 확대할 것"이라며 "미국이 한국에 원하고 있는 반도체와 전력, 조선 등의 보호무역 무풍 수출주들의 강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mylux@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